본문 바로가기

Data Scientist

파이썬(숫자: 사칙연산, 정수나누기, 나머지, 제곱 연산자)

반응형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정수형이라 하고,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실수형이라 한다. 

  • 소수점이 없는 숫자: 0, 1, 273, -52 -> 정수(integer)
  • 소수점이 있는 숫자: 0.0, 52.273, -1,2 -> 실수(float point, 부동 소수점)

주의할 점은 0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이고, 0.0은 소수점이 있는 숫자라는 것이다. 같은 크기를 나타낸다고 해도 소수점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숫자의 자료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부동소수점은 실수형의 경우 52.73 = 0.5273×10² 이와 같이 소수점의 위치를 바꿔도 같은 숫자이므로, '소수점이 움직이는 숫자'라는 의미이다. 

 

파이썬에서 0.5273×10²은 0.5273e2 로 나타낼 수 있다. 


사칙연산자 + - * /

기본적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 가능하다. 

정수 나누기 연산자 //

숫자를나누고소수점 이하의 자릿수를 떼어버리고 정수 부분만 남긴다. 

나머지 연산자 %

나누기를 했을 때, 몫과 나머지 중에 나머지를 출력해준다.

제곱 연산자 ** & 함수 pow( )

2의 4승 같은 경우 파이썬에선 2**4로 쓴다.

 

 

 

😁

출처:

혼자공부하는파이썬(윤인성) https://www.youtube.com/watch?v=IUXMgyiFBIU&list=PLBXuLgInP-5kr0PclHz1ubNZgESmliuB7

 

반응형